본문 바로가기
일하는 명지/QGIS

[QGIS] 04. 지적, 지번, 시설선, 구역계 CAD파일로 변환하기(dxf파일)_3(지번 넣기)

by 아기공룡명지 2022. 7. 1.
[QGIS] 지적, 지번, 시설선, 구역계 CAD 파일로 변환하기(dxf파일)_3(지번 넣기)

 

 

지난번 포스팅에서 QGIS에 시설선 넣는 작업까지 진행했었다. 오늘은 그동안 했던 작업에 이어서 지번을 넣는 작업을 포스팅할 것이다. 포스팅이 많이 늦은 만큼 바로 시작!


이전 포스팅에서 시설선 추가하는 작업을 완료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있을 것이다. 지적선과 교통시설, 공간시설, 유통및공급시설, 방재시설선을 추가하였다면 그다음으로 할 작업은 지번 넣기이다. 지번 넣기는 엄청 간단하다.  너무 간단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하는 방법을 먼저 알려준 후, 글씨 크기 지정에 대한 개인적인 팁들을 몇 가지 소개하겠다.

 

  • 만들었던 지적 레이어를 우클릭하여 복제

 

  • 복제된 지적 레이어 우클릭
  • 속성 클릭

 

  • [00-지적 복사] 레이어 속성창에서 심볼 탭을 들어가 [단일 심볼]로 되어있는 설정을 [심볼 없음]으로 설정

 

  • 라벨 탭 클릭
  • [라벨 없음]으로 되어있는 설정을 [단일 라벨]로 설정
  • 값 : jibun으로 변경
  • 적용
  • 확인

  • [00-지적 복사] 레이어가 활성화가 안되어 있다면 레이어 옆에 체크박스 '체크'
  •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 같다면 [00-지적 복사] 레이어 옆에 체크박스 '체크' (같은말)

 

여기서 TIP!
레이어 속성 창에서 원본 탭 들어가면 레이어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 00-지적 복사 ]라는 레이어 명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 00-지번 ]으로 변경해줄 것!
레이어를 시간차를 주고 클릭을 하면 속성 창을 들어가지 않아도 레이어명을 변경할 수 있다.

 

지번 넣기 끝!

 

지번을 넣는 방법은 너무나도 간단하다. 하지만 여기서 멈추지 않고 보기 쉽도록 지번을 정리하는 방법을 짚고 넘어갈 것이다. 지번을 정리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중 대체로 많이 쓰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하겠다.

 

 

 

TIP!

[배치]를 이용하는 방법

 

  • [00-지적 복사] 레이어 속성 창에서 라벨 설정을 해주었던 화면으로 다시 돌아가서
  • 배치를 클릭한다.
  • 모드 : 중심 주변 또는 자유롭게 (각을 이룸)으로 설정

※ [00-지적 복사] = [00-지번]

 

나열되어 있는 지번을 보면 어느 지적에 어느 지번을 뜻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에 지적 모양에 따라 각을 이루도록 지번을 배치시킬 수 있다. 왼쪽에 비해 오른쪽이 조금은 가독성 있어 보이지 않나요?

 

 

 

[크기]를 이용하는 방법_1

 

나는 보통 dxf파일로 변환할 때 아래와 같이 크기를 1로 주고 보내는 편이다. QGIS에서 dxf 파일로 변환 후 CAD 파일을 열면 생각보다 글자 크기가 너무 커서 작업하기 불편했던 적이 있다. 그 결과 그냥 단순하게 크기를 1로 지정해 버릇했다.

크기를 1로 주는 건 내가 편해서 하는 작업이다. 굳이 따라 하지 않아도 됨!

 

  • [00-지적 복사] 레이어 속성 창에서 라벨 설정을 해주었던 화면으로 다시 돌아가서
  • 텍스트를 클릭한다.
  • 크기 : 1

잘 안 보이지만 보인다.

이 외에도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이 하나 더 있다.

 

 

 

 [크기]를 이용하는 방법_2

 

두 번째 방법은 수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QGIS에서 area와 $area는 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area는 지구 곡률을 미 고려한 평면 측량 값이기에 레이어 좌표계의 면적 단위를 사용하는 값이고, $area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한 측지측량 값으로서 프로젝트 좌표계의 투영체와 면적 단위를 사용하는 값이다. 유병혁 님께서 작성해주신 내용으로 확인할 수 있다.

 

참고 : 유병혁님 블로그 GGRS

 

QGIS에서 area와 $area의 차이

안녕하세요? QGIS에서 area와 $area의 차이를 문의하신 분이 있어 간략히 정리해 봅니다. [1] area (planimetric calculation) area는 지구의 곡률을 미고려한 평면측량 값입니다. 레이어 좌표계의 면적 단위를

blog.daum.net

 

그렇다면 수식을 어디에 작성하는가? 크기 옆에 있는 아이콘을 누르면 수식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을 열 수 있다.

 

  • [00-지적 복사] 레이어 속성 창에서 라벨 설정을 해주었던 화면으로 다시 돌아가서
  • 텍스트를 클릭한다.
  • 크기 : 5~10 (1로 지정해주면 아무리 수식을 설정해도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 크기 오른쪽 옆에 있는 아이콘(데이터 정의 무시) 클릭
  • 편집... 클릭
  • log(3,$area) 입력
  • 확인
  • 적용
  • 확인

 

앞서 area, $area를 설명했던 이유는 여기에 있다. 수식에 쓰기 때문이다.

* area를 사용해도 되냐고 물으신다면 그러하여도 상관없다고 답변을 드리고 싶지만 제 지식이 완벽한 게 아니기에 믿지 않으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ㅎㅎ

 

 

위와 같이 설정해주면 마우스 휠로 줌 아웃해도 글씨 크기에는 변동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는 일단 크기를 수식으로 조절하는 작업은 하지 않는다. 처음에는 하려고 시도했다가 dxf 파일로 변환하면 폰트 크기가 중구난방 하게 작성되는 것을 본 이후로는 그냥 크기를 1로 준 후 dxf 파일로 변환한다. 지번의 크기나 보기 좋게 하기 위해서 하는 작업은 이 외에도 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최종 목표는 dxf 파일로 변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작업은 그다지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가벼운 지식정도로만 알고 있으면 좋을 듯하고 언젠간 활용할 수 있는 날이 올 수 있으니 숙지하고 있도록 하자!

 

생각보다 포스팅 내용이 길어졌지만 내용 자체가 많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부담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천천히 차근차근 따라 하실 수 있도록 작성하려고 노력 중인데.. 잘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보 직장인(아공명)으로부터 초보 직장인들 또는 QGIS가 필요한 누군가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다음은 진짜로 정말로 dxf파일 변환이다.

댓글